분류 전체보기 (5) 썸네일형 리스트형 Redux - 자바스크립트를 위한 상태관리 앱 수업을 들으면서 처음 Redux에 대한 생각은 이렇게 깔끔하게 props drilling을 해결 할 수 있다는게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사용법도 겉보기에는 어려워 보이지 않고 정해진 값만 가지고 그냥 이렇게 쓰는거래 ~ 하면 이보다 쉬운게 없다고 느껴졌는데.. 5개월밖에 공부하지 못했지만 확실하게 알고있는건 이 업계에서 효율적이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건 굉장히 어렵게 공부해야 정확하고 용도에 맞게 잘 쓸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Redux Redux 공식문서에 Redux는 자바스크립트 앱을 위한 예측 가능한 상태 컨테이너입니다. 라고 적혀있다. 제목에서 '예측가능한' 을 명시하지 않은 이유는 본문에서 강조를 하고 싶어서인데, Redux의 전개방식, 원칙, 필요한 요소를 정확하게 이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설계원칙(SOLID) 지난 포스트에서 알아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을 통해서 설계원칙을 차근차근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것도 자세히 공부하다 보니 막상 처음 생각처럼 쉽게 체득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제게 맞는 방법으로 이해하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세밀하게 구성을 했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설계원칙(SOLID)란 무엇인가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주요 목표는 코드의 유지보수성, 재사용성 등을 높이고 코드의 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서 프로그래밍의 설계 단계에서 지켜야 할 원칙을 SOLID라고 말하는데, 1.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2. 개방/폐쇄 원칙 (Open..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을 알아보자 SOLID와 OOD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 틈틈히 공부를 하고 있는데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OOD와 SOLID가 연관이 있고 OOD를 각각 섞을 때마다 SOLID의 원칙이 하나씩 나오는 것 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SOLID를 하기 전 OOD의 정확한 특징을 알아보고 그것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게 된 뒤 SOLID를 기술하는 포스트를 적으려고 합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으로는 추상화, 상속, 다형성, 캡슐화 4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활용하여 객체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하나의 기능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는 어떤 한 클래스나 객체가 변경되거나 오류가 발생했을 때 유지보수나 오류 해결을 보다 쉽게 만들어줍니다. 각 객체는 자체적으로 정의된 역할을 수행하며, .. 클래스(Class)와 객체(Object), 인스턴스(Instance)는 무엇이고 차이점은 뭘까 지난 포스트를 작성하면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정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상태임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모든 것을 세세하게 알지는 못해도 각각의 기능과 개념, 차이를 명확히 알아야 코드의 최적화와 가독성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여 오늘은 객체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객체란 무엇인가? 객체라는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가 잦은 것 같다. 특히 프로그래밍에서는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등 각각이 정확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각각의 개념과 의미를 나열하면서 비교하고, 비유하면서 세밀하게 짚어보려 한다. 클래스 자바에서 클래스(class)는 프로그램에 적합한 기능과 성질을 위해 큰 틀을 정의하는 것이다. 적절한 클래스 다수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에 대해 알아보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오늘 정리해볼 것은 객체지향 언어의 대표적인 예시인 자바, C#, C++, 파이썬 등의 프로그램을 공부하게 되면 반드시 듣게 되는 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다. 대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뭘까? 우선, 단어를 나누어서 용어의 뜻을 명확하게 알아보자. 객체란? 객체를 알기 전에 '실체'와 '주체'라는 것을 먼저 알면 이해가 더 쉬울 것 같다. 실체란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의미하고, 주체란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1인칭, 즉 '나'라는 실체를 나 스스로가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는 주체가 실체를 바라보는 시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나'라는 사람이 A라는 사람을 보면 '나'에게 A는 객체이지만, A라는 사람이 '나'라는 사람을 바라볼 때 '나'는 객체가.. 이전 1 다음